변화하는 경제 환경과 더불어 각 가정의 경제 상황도 함께 변화하고 있습니다.
2023년 우리나라 평균 자산 부채 순자산 5 분위표에서 우리 가정은 어디에 해당되고 어떤 대응이 필요할까요?
이 글에서는 2023년 소득 5 분위 평균 자산 부채 순자산 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평균 자산 부채 순자산
가계의 재정 건강은 경제 전반의 안정과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본 글에서는 2023년 한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가계의 평균 자산, 부채, 순자산 현황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개념 및 정의
자산은 미래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되는 모든 것들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현금, 예금, 주식, 부동산, 자동차, 가구 등이 포함됩니다.
부채는 미래에 지불해야 할 의무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대출, 신용카드 잔액, 미납금 등이 포함됩니다.
순자산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이며 이는 순재산 가치를 의미합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자산 : 가지고 있는 것
② 부채 : 빚진 것
③ 순자산 : 가지고 있는 것에서 빚진 것을 뺀 것


2. 평균 자산 부채 순자산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 원, 부채는 9,186만 원, 순자산은 4억 3,540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순자산이 4.5% 감소한 수치입니다.
자세한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분위별 | 구분 | 보유액 평균 | 점유율 |
| 전체 | 자산 | 52,727만원 | 100% |
| 부채 | 9,186만원 | 100% | |
| 순자산 | 43,540만원 | 100% | |
| 소득 1분위 | 자산 | 17,287만원 | 6.6% |
| 부채 | 2,004만원 | 4.4% | |
| 순자산 | 15,284만원 | 7.0% | |
| 소득 2분위 | 자산 | 28,567만원 | 10.8% |
| 부채 | 4,432만원 | 9.6% | |
| 순자산 | 24,135만원 | 11.1% | |
| 소득 3분위 | 자산 | 41,948만원 | 15.9% |
| 부채 | 7,443만원 | 16.2% | |
| 순자산 | 34,505만원 | 15.9% | |
| 소득 4분위 | 자산 | 58,361만원 | 22.1% |
| 부채 | 11,417만원 | 24.9% | |
| 순자산 | 46,944만원 | 21.6% | |
| 소득 5분위 | 자산 | 117,458만원 | 44.6% |
| 부채 | 20,634만원 | 44.9% | |
| 순자산 | 96,825만원 | 44.5% |
(1) 분위별 평균자산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 원, 부채는 9,186만 원, 순자산은 4억 3,540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자산은 전년 대비 4.5% 감소한 수치입니다.(2023년 3월 말 기준)
하위 1 분위 순자산은 1억 5, 284만 원으로 상위 5 분위 순자산 9억 6,825만 원으로 상위 20%가 하위 20% 순자산의 6.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분위별 평균부채
우리나라 가구 평균 부채는 9,186만 원으로 전년대비 0.2% 증가하였으며 금융부채는 6,694만 원으로 1.6% 감소하였으나, 임대보증금은 2,492만 원으로 5.3% 증가하였습니다.
순자산이 많을수록 부채도 많으며, 하위 1 분위 부채는 평균 2,004만 원, 상위 5 분위 부채는 평균 2억 634만 원이었습니다.
3. 주요 특징
① 전체가구의 57.4%가 3억 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하며, 10억 원 이상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10.3%입니다.
② 자산은 금융자산 23.9%(1억 2,587만 원)와 실물자산 76.1%(4억 140만 원)로 구성되었습니다.
③ 가구주 특성별로 살펴보면, 50대 가구와 자영업자 가구에서 자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④ 가구소득 증가 및 여유자금 발생 시 주된 운용 방법으로는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가 50.4%, 부동산 구입이 23.9%, 부채 상환이 21.6% 순입니다.
⑤ 시도별로 살펴보면 자산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세종, 경기이며, 2022년 소득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울산, 세종, 경기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상으로 우리나라 2023년 소득 5 분위 평균 자산 부채 순자산 순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의 수치화된 자료는 ‘국가통계포털'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통계청, kosis.kr'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02.14 - [쏠쏠한 정보] - 2024년 중위소득 확인 계산 방법(50% 100% 150% 180%) 정부 지원
2024년 중위소득 확인 계산 방법(50% 100% 150% 180%) 정부 지원
지난 포스팅에서 중위소득의 개념과 관련 규정, 2023년 2024년 중위소득의 변화, 중위소득 활용전략 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어서 오늘은 2024년 중위소득 50% 100% 150% 180%는 어떻게 정해지는지,
seemsinfo.com
2024.02.12 - [쏠쏠한 정보] - 2023년 근로자 가계(가구) 소득 5분위 가계 소득 소비 지출 평균은 얼마?
2023년 근로자 가계(가구) 소득 5분위 가계 소득 소비 지출 평균은 얼마?
우리 가정의 소득과 소비 지출은 평균 대비 많은 걸까, 적은 걸까? 가끔 궁금할 때가 있곤 합니다. 우리 가정의 소득 수준과 소비 지출 성향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2023년 우리나라 전체가구, 근로
seemsinfo.com
2024.02.11 - [쏠쏠한 정보] - 가구당 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얼마?(2023년 가구당 가계 소득 10분위)
가구당 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얼마?(2023년 가구당 가계 소득 10분위)
우리나라 가구당 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얼마일까? 내가 받은 월소득은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에 해당되는 걸까? 오늘은 우리나라 가구당 근로자 월평균 소득에 대해 2023년 기준, 소득 10 분위표
seemsinfo.com
2023.11.12 - [쏠쏠한 정보] - 우리나라 암 발생 나이 연령별 암 발병률 암 발생 통계(통계로 보는 암)
우리나라 암 발생 나이 연령별 암 발병률 암 발생 통계(통계로 보는 암)
우리나라 국민들의 기대수명은 83.6세(남자 80.6세, 여자 86.8세)이며 기대수명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리는 확률은 36.9%(남자 39%, 여자 33.9%)였습니다. 그러면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적인 암 발생 나
seemsinfo.com
'쏠쏠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은갈치 먹갈치 차이 뜻 외관 가격 맛 영양소 어획 방식 갈치 종류 구분 방법 (1) | 2024.02.20 |
|---|---|
| 2023년 전국 시도별 평균 가구 소득 시도별 소득 규모 중앙값 (0) | 2024.02.19 |
| 석좌교수란? 석좌교수 뜻 역할 특징 석좌교수제도의 의미와 부작용 (0) | 2024.02.17 |
| KTX 산천 이음 ITX 새마을 무궁화호 기차 자판기 수유실 위치 (0) | 2024.02.16 |
|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주기 가솔린 차량과 교체주기가 다를까?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