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쏠쏠한 정보

돌잔치, 돐잔치? '돌'과 '돐' 차이점과 사용법

by 차곡-차곡 2025. 5. 6.

돌잔치, 돐잔치? '돌'과 '돐' 차이점과 사용법

 

돌과-돐-차이점과-사용법
'돌'과 '돐' 차이점과 사용법

 

'돌잔치'가 맞나?, "어? '돐잔치'가 맞는 것 아닌가?" 예전 한글 표기법이나 단어의 역사에 익숙한 분들에게는 흔히 발생하는 혼동입니다.

 

 

이 글에서는 왜 아기의 첫 생일을 축하하는 '돌잔치'를 '돌'로 표기하는지, '돐'과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그리고 왜 현재의 표기법으로 통일되었는지 그 배경과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돌'과 '돐' - 표기의 역사

 

 

그렇다면 '돐잔치'라는 표현은 어디서 온 것일까요? 과거 한글 맞춤법에서는 실제로 '돌'과 '돐'을 구분하여 사용했습니다.

 

 

'돌' (ㄹ 받침): 주로 아기의 첫 번째 생일인 '첫돌'을 의미하거나, 어린아이의 나이를 세는 단위('두 돌', '세 돌')로 사용되었습니다.

 

 

'돐' (ㄽ 받침): '주년(週年)'이나 '주기(週期)'와 같이, 특정 기념일이 해마다 돌아오는 횟수를 세는 단위를 나타낼 때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구분은 논리적으로는 첫 번째 생일이라는 특별한 사건과 일반적인 주년을 구별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나이가 있는 세대는 이러한 구분법을 배우고 사용했기 때문에, 여전히 '돐'이 맞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거의 드라마 등에서 '돐'이라는 표기가 등장하는 것도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반영하는 예시일 수 있습니다.

 

돌과-돐-차이점과-사용법
'돌'과 '돐' 차이점과 사용법

 

표기의 통일: 왜 '돌'로 정착되었나?

 

 

1988년 문교부(현 교육부) 고시로 발표된 '표준어 규정'에서 중요한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국립국어원은 표준어 규정 제6항을 통해 '돌'과 '돐'의 사용법을 명확히 정리했습니다.

 

 

표준어 규정 제6항은 의미 차이가 거의 없어져 구별의 실익이 사라진 단어들은 한 가지 형태로 통일한다는 원칙을 담고 있습니다.

 

 

'돌'과 '돐'의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로 '돌' 하나로 통일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① 인위적인 구분

 

 

'생일'을 의미하는 '돌'과 '주년'을 의미하는 '돐'의 구분이 다소 인위적이고 불필요한 세분화로 판단되었습니다.

 

 

언어가 자연스럽게 발전하는 과정에서 생긴 구분이라기보다는 규범에 의해 만들어진 측면이 강하다고 본 것입니다.

 

 

 

② 실용성 부족 및 혼란

 

 

실제 언어생활에서 이 둘을 구분해야 할 필요성이 부족했고,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언어 규범은 명확하고 쉬운 의사소통을 지향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혼동을 줄이기 위해 단순화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③ 발음 현실과의 불일치

 

 

결정적으로, 사람들이 '돐'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이'나 '을'이 붙을 때, 이론적인 발음인 [돌씨], [돌쓸]로 발음하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게 작용했습니다.

 

 

실제로는 '돌이', '돌을'과 동일하게 [도리], [도를]로 발음했기 때문에, 발음상 구별되지 않는 단어를 굳이 다르게 표기할 이유가 없다는 결론에 이른 것입니다.

 

 

표기와 발음의 일치는 언어 규범의 중요한 원칙 중 하나입니다.

 

 

결과적으로, 1988년 표준어 규정에 따라 '돌'이 첫 번째 생일과 주년(기념일)의 의미를 모두 포괄하는 유일한 표준어로 지정되었고, '돐'은 비표준어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과거와 현재의 표준어 사용법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돌'과 '돐'의 표준어 사용 변화

 

개념 첫번째 생일 주년(기념일)
과거 표준어 ('88년 이전)
현재 표준어 ('88년 이후)
현재사용예시 개교 50돌 결혼 10돌

 

 

 

오늘날 '돌'의 올바른 사용법

 

 

결론적으로, 현재 대한민국 표준어에서는 매우 간단한 규칙이 적용됩니다. 어떤 경우든 항상 '돌'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죠.

 

 

① 첫 생일 관련

 

 

'첫돌' , '돌잔치' , '돌잡이' , '돌떡' , '돌상', 그리고 첫돌을 맞은 아기를 뜻하는 '돌쟁이' 등 모두 '돌'을 사용합니다.

 

 

 

② 주년 및 기념일

 

 

'개교 50돌', '결혼 10돌' , '한글 반포 561돌'과 같이 주년을 나타낼 때도 '돌'을 사용합니다.

 

 

'돌'과 '주년'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둘 다 표준어 표현입니다.

 

 

 

☞ 맞춤법 검사기 바로가기

 

 

☞ 우리말 맞춤법 테스트 바로가기

 

 

 

이상으로 '돌'과 '돐'의 차이점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블로그의 추천 글>

 

 

 

2025.04.10 - [쏠쏠한 정보] - 우리 가족 보험 가입 내역, 간단히 확인하세요!

 

우리 가족 보험 가입 내역, 간단히 확인하세요!

우리 가족 보험 가입 내역, 간단히 확인하세요!  보험은 많이 가입했는데 어떤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 보장 내용은 충분한지, 혹시 잊고 있던 보험금은 없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

seemsinfo.com

 

 

2025.04.07 - [쏠쏠한 정보] - 자녀 보험 조회 방법, 미성년자 부모라면 꼭 확인하세요!

 

자녀 보험 조회 방법, 미성년자 부모라면 꼭 확인하세요!

자녀 보험 조회 방법, 미성년자 부모라면 꼭 확인하세요!  소중한 우리 아이를 위해 이런저런 보험에 가입해 두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어떤 보험에, 어떤 보장으로 가입했는지 정확히 기억하

seemsinfo.com

 

 

2024.08.19 - [쏠쏠한 정보] - 한전 실시간 전기요금 조회 방법 (아파트, 빌라, 원룸 모두 가능)

 

한전 실시간 전기요금 조회 방법 (아파트, 빌라, 원룸 모두 가능)

숨 막히는 더위, 에어컨 없이는 버틸 수 없는 요즘, 혹시 전기요금 폭탄 걱정에 전기를 마음껏 못 하고 계시진 않나요? 그런 여러분들을 위해, 오늘은 집에서 편하게 실시간 전기요금을 확인하

seemsinfo.com

 

 

2024.06.19 - [쏠쏠한 정보] - 현대차 내 차 위치 찾기, 블루링크로 간단히!

 

현대차 내 차 위치 찾기, 블루링크로 간단히!

내 차를 어디에 주차했는지 기억이 안 나 당황했던 경험, 누구나 한 번쯤 있으시죠? 하지만 현대차 오너라면 간단히 찾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블루링크를 활용한 내 차 위치 조회 방법에

seemsinfo.com

 

 

2024.03.10 - [쏠쏠한 정보] - 휴대폰 분실 시 대처 방법 유실물 센터 신고 스마트폰 위치 찾기 서비스

 

휴대폰 분실 시 대처 방법 유실물 센터 신고 스마트폰 위치 찾기 서비스

"휴대폰을 잃어버렸다면?" 휴대폰 분실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침착하게 대처하면 소중한 휴대폰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휴대폰 분실 시 대처 방법 유실물 센터 신

seemsinfo.com

 

 

2025.01.06 - [쏠쏠한 정보] - 현대차 네비게이션, SD카드/USB로 업데이트 방법

 

현대차 네비게이션, SD카드/USB로 업데이트 방법

현대차 네비게이션, SD 카드/USB로 업데이트  방법  현대차 네비게이션 업데이트는 SD 카드 또는 USB를 이용하여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방법을 이용하든, 먼저 현대자동차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seemsinfo.com

 

 

2024.09.25 - [쏠쏠한 정보] - 전국 실시간 강수량 통계, 강수 예측 사이트 3곳

 

전국 실시간 강수량 통계, 강수 예측 사이트 3곳

전국 실시간 강수량 통계, 강수 예측 사이트 3곳  1. 공식 날씨 정보, 기상청 날씨누리 ① 전국 지도를 통해 현재 강수 상황을 실시간으로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원하는 지역을 클릭하면 상세

seemsinfo.com